디저트39 창업비용, 매출, 재료비, 순수익, 마진, 권리금

디저트39 창업비용, 매출, 재료비, 순수익, 마진, 권리금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이를 통해 디저트카페 창업을 준비중이신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디저트39 개요

항목개요비고
상호(주)에스엠씨인터내셔널
영업표지디저트39
대표자신민창, 최한나
법인설립등기일2015. 07. 10
업종커피
가맹점 수490개공식홈페이지
25. 04. 29 기준
공식홈페이지dessert39.com

깔끔한 화이트 톤, 세계 각국의 케이크, 디저트를 즐길 수 있는 디저트카페 브랜드 입니다. 현재 국내 시장에 거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브랜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국에 490여개의 매장이 영업중입니다.

디저트39 매출

지역2023년
가맹점수평균매출액면적(3.3㎡)당
평균매출액
전체529325,80314,475
서울76367,31718,966
부산26296,64611,210
대구17381,0377,545
인천45376,80318,152
광주12301,30911,279
대전20318,58712,780
울산7273,2699,423
세종5237,87514,417
경기171322,10916,422
강원14278,02410,832
충북17264,5829,071
충남18294,79314,740
전북17313,89310,096
전남19288,42013,261
경북24307,33414,811
경남34292,74311,439
제주7334,38915,200
2022년 디저트39 매출표(펼치기)
지역2022년
가맹점수평균매출액면적(3.3㎡)당
평균매출액
전체464340,07917,291
서울70370,13522,058
부산18335,19715,854
대구13365,0828,073
인천42399,84421,276
광주14336,03612,801
대전12397,30318,418
울산5300,26913,805
세종5296,30616,104
경기146320,31718,921
강원13298,60518,769
충북16293,43214,107
충남17363,40119,643
전북15354,88119,143
전남19356,37314,780
경북22277,77915,117
경남32331,54413,025
제주5392,12818,453
2021년 디저트39 매출표(펼치기)
지역2021년
가맹점수평균매출액면적(3.3㎡)당
평균매출액
전체336374,85520,850
서울50381,57222,258
부산15333,02818,709
대구6236,78318,943
인천30396,45328,709
광주10460,06321,701
대전400
울산300
세종400
경기107367,93724,452
강원12339,10118,275
충북12331,27612,269
충남15435,48118,753
전북8372,51221,286
전남13437,78715,096
경북20313,55818,445
경남23429,91813,968
제주400
2020년 디저트39 매출표(펼치기)
지역2020년
가맹점수평균매출액면적(3.3㎡)당
평균매출액
전체146147,3287,948
서울25164,0509,883
부산6146,6237,717
대구300
인천13190,84313,162
광주300
대전100
울산200
세종100
경기42159,37911,005
강원9124,3186,015
충북9124,7916,568
충남889,9743,986
전북400
전남200
경북11141,7974,086
경남6116,8385,311
제주100

2023년 정보공개서를 통해 확인한 디저트39 가맹점 평균 매출입니다. 연평균 매출은 부가세 미포함 기준 약 3억 2천 5백만 원이며 여기에 부가세10%를 더해 12개월로 나눈 월평균 매출은 약 2,986만원 입니다.

2023년 저가커피 중 매출 1등은 메가커피보다는 낮고 2등은 빽다방과 비슷한 정도로 매출이 나왔습니다.

참고로 2023년 상한(가맹점 중 가장 높은 매출) 연매출946,031,000원(부가세미포함)이며 월평균매출 약8,671만원 입니다.

정보공개서는 네이버카페에 정리중이니 필요하신분은 다운받아 쓰시면 되겠습니다.

디저트39 정보공개서

디저트39 순이익

항목내용비고
월매출2,98623년 가맹점 평균
임대료300만원마지노선
재료비35%~40%음료, 케이크 비율에 따라 상이
인건비20%초반권장
로열티28만원
(부가세별도)
23년 정보공개서 기준
기타비용약10%
순수익20%전후

위 표는 디저트39 실제 순수익 표가 아닙니다. 초보자가 수익을 계산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항목별 가이드라인 입니다. 매장의 상황에 따라 똑같은 브랜드라도 수익은 편차가 발생합니다.

디저트39 순수익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으로 알아야 할 부분은 음료, 디저트의 판매비율이며 이에 따라 재료비가 변동 된다는 것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음료는 아무래도 디저트보다 마진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개인카페의 재료비가 25%~30%전후인것만 봐도 마진이 높죠. 하지만 완제품을 받아쓰는 디저트, 케이크류는 기본적으로 재료비만 50%~60%정도인데 타업체의 경우 높을 때는 70%를 넘기도 합니다.

음료 : 디저트 비율이 8:2가 최고의 조건이라고 생각하지만 마지노선은 6.5 : 3.5 정도까지라고 생각합니다. 이 이상 디저트 판매 비율을 올려서 매출을 올려도 재료비가 40%를 넘어갈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창업할 메리트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본사 미팅 시 전 가맹점 음료:디저트 판매 비율이 얼마인지 비율에 따라 평균 사용하는 재료비가 몇%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총 매출 대비 20% 수익을 넘기는건 대부분의 프랜차이즈가 매우 힘든 구조입니다. 재료대가 높은 베이커리, 디저트는 두말 할 것도 없구요. 현실적으로는 15%전후를 보시는게 맞습니다.

디저트39 창업비용

항목금액비고
가맹비770만원
교육비880만원
보증금
인테리어5,500만원66㎡(20평)기준
-평당 275만원
기타비용9,680만원
합계16,830만원

2023년 정보공개서 기준, 단위:만 원, 부가세포함

20평 기준 디저트39 창업비용은 약 1억 6천 8백만 원이 발생한다고 되어있습니다. 상가보증금, 권리금, 별도공사, 기타비용을 제외한 금액으로 이를 모두 포함하면 약 2억 2~3천만 원 정도의 실제 창업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테리어는 일단 20평 일반타입과 10평 라이트타입이 있는데 평당 275만원(부가세포함)이군요. 30평 이상 넘어가게 된다면 이론적으로는 3억 이상의 창업비용도 쓰게 됩니다.

디저트39 가맹점 변동 현황

연도신규개점계약종료계약해지명의변경
2023100191622
20221340620
20211900011

2020년~2022년까지는 계약종료나 해지가 0건인 상태로 가맹점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23년부터 일부 가맹점들이 정리되는 모습을 보이는군요.

2~3년 정도 데이터가 더 쌓이면 브랜드의 안정성에 대해 좀 더 감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디저트39 창업 개인의견

디저트카페가 경쟁력이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다만 제가 컨설턴트로 일하던 2010년대나 지금이나 항상 걱정되는게 바로 재료비입니다.

본사홈페이지에서는 로스율 0%라고 하는데 로스율보다는 납품가가 무섭죠 ㅠㅠ 옛날에도 급속냉동 기술은 좋아져서 로스율이 많이 줄어서 이건 큰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표면적인 매출이 아무리 높아도 마진이 박한 디저트류가 주를 이룬다면…투자대비 효율이 살지 않는다는게 문제이죠.

반대로 디저트 매출이 높다는건 인건비가 다소 낮아지기 때문에 어느정도 상쇄가 되긴합니다. 어차피 완제라서 냉장고에 꺼내서 뚝딱 잘라 내기만 하면 되니 1명이 일해도 매출이 만원 2만원 훅훅 올라가죠. 음료만 파는거랑은 또 효율이 다릅니다.

여튼…중요한건 역시 이런 부분들을 예비창업자가 잘 이해하고 각 항목들을 면밀히 살펴서 승산이 있다 싶으면 베팅을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