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커피 창업비용, 매출, 재료비, 순이익(마진), 창업후기, 양도양수, 권리금

메가커피 창업비용, 매출, 순이익(마진율), 가맹점 변동 현황, 양도양수 주의점(권리금) 등 신규 혹은 인수를 통해 메가커피 창업을 계획중인 분들을 위한 분석 글 입니다.

이론+ 여러 메가커피 가맹점을 거래하며 얻은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정말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자신 합니다. 꼭 정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메가커피 개요

  • 상호 : (주)앤하우스
  • 영업표지 : 메가엠지씨커피(MEGA MGC COFFEE)
  • 대표자 : 김대영
  • 법인설립등기일 : 2010. 11. 30
  • 가맹본부 매출액(23년) : 368,366,543,000원

메가커피 가맹본부는 룸카페 ‘앤하우스’를 가맹사업 해오던 곳입니다.

오랫동안 가맹사업을 해온 업력을 바탕으로 2010년 중반 메가커피를 런칭하여 2010년 후반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5년 1월 공식 홈페이지 기준 전국에 3,453개의 가맹점이 오픈했으며 대한민국 커피 시장의 1등 브랜드로 자리메김했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020년 코로나를 거치면서도 아직까지도 매년 가맹점과 매출액이 성장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예비 창업자가 몰리고 있어 전국적으로 창업할 상가를 찾기가 힘든 상태입니다.

메가커피 창업비용

항목금액비고
가맹비1,000만원부가세별도
교육비500만원부가세별도
인테리어1,650만원10평(33㎡)기준
-시설 1,400
-설계,도면 250
기타비용4,111만원부가세별도
합계7,261만원

*별도사항 : 전기증설, 냉난방, 철거, 외관공사(건물전면), 테라스, 어닝, 아이스크림장비, 이행보증금, POS&키오스크, 호출벨시스템(KDS)

메가커피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경우 10평 신규창업 시 약 7,200만원/ 15평 기준 약 8,136만원이 발생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주의점은 이것은 가맹본부에 들어가는 가장 기본적인 ‘개설비용’으로 별도비용과 점포 구입비용이 빠졌기 때문에 실제 창업비용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상가를 구해서 공사를 들어가려고 하면 이것저것 추가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행보증금도 몇백만원 발생합니다.

유동이 어느정도 받쳐주는 입지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10평 기준 보증금 3천만원, 권리금 등을 포함하면 총 창업비용은 약 1억 5천만 원 정도 여유자금이 있어야 무리해서 돈을 빌리지 않고 창업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권리금이 없는 자리, 공사를 최소한도로 선택하면 1억 초반의 자금으로도 창업이 가능합니다.

메가커피 창업비용 낮추는 방법

창업비용을 낮출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양도양수 즉, 인수창업이 가장 확실하고 유일합니다.

현재 메가커피는 본사 차원에서 점주분들이 양도 희망을 하는 매장을 예비창업자와 연결해주고 있습니다.

이 덕분에 과도한 창업컨설팅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문의를 해보시는게 좋을 듯 하군요.

메가커피 공식 홈페이지 인수상담 바로가기

메가커피 양도양수(권리금)

  • 가맹점 평균 매출보다 현저히 낮은 매장은 월세가 낮지 않으면 인수를 추천하지 않음
  • 양도양수는 일반적으론 고매출 매장이 아닌 이상 신규창업보다 높은 권리금을 받는 것이 아님

메가커피 양도양수를 희망할 때 권리금 책정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일단 핵심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프랜차이즈마다 신규창업 비용과 평균 매출, 입지, 월세 등을 기초하여 어느정도 권리금을 유추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자가 명심하셔야 할 부분은 권리금이란 게 일괄적으로 모든 매장에 특정한 계산법이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평수, 월세, 상권, 매장의 인테리어나 기계/설비 상태, 상권, 경쟁점포 상황 등 수많은 변수에 따라 가장 먼저 판단하셔야 할 것은 매장이 인수할 가치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별하는 것입니다.

그다음에 권리금이 비싼지 싼지를 계산해야만 적절한 가격에 좋은 매장을 인수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에게 디테일한 부분을 알려드리는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쉽게 하실 수 있는 방법은 정보공개서를 통한 ‘평균 매출액’을 기준잡으시고 비슷한 매물과 비교하여 월세와 권리금이 가장 메리트 있는 매장을 골라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만약 평균매출보다 20%~30% 이상 매출이 낮다면 신규창업보다 꽤 낮은 가격을 주어야만 인수할 이점이 있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카페 인수하고픈데 좋은 매장인지? 가격이 적절한지?무료 상담

메가커피 매출

년도연매출
(천원)
전년대비
성장률
2023362,621+3.89%
2022349,021+6.11%
2021328,912+14.99%
2020286,025

(단위 : 천원/ 부가세 미포함)

2023년 메가커피 매출(펼치기)
지역2023년
점포수연매출
(천원)
면적(3.3㎡)당
평균 매출액
전체2,681362,62120,908
서울639427,59625,751
부산92275,53817,141
대구41224,01313,616
인천245355,31420,300
광주115328,20517,375
대전67346,30419,287
울산11219,81512,663
세종16291,21916,920
경기893371,20522,105
강원85343,05118,042
충북82366,80317,775
충남87375,00320,869
전북57282,46014,577
전남88358,80117,108
경북55232,50313,891
경남70232,77814,734
제주38285,25614,796
2022년 메가커피 매출(펼치기)
지역2022년
점포 수연매출
(천원)
면적(3.3㎡)당
평균 매출액
전체2,156349,02120,423
서울490405,10824,422
부산91247,97015,895
대구28205,62412,599
인천214352,51020,712
광주98325,40617,773
대전44324,63719,954
울산8204,05411,184
세종13285,00116,560
경기716366,89522,017
강원70329,15418,061
충북67333,87116,315
충남64346,88520,172
전북43263,69713,613
전남76357,78017,244
경북39220,14213,807
경남62213,47613,432
제주33316,35916,431
2021년 메가커피 매출(펼치기)
지역2021년
점포 수연매출
(천원)
면적(3.3㎡)당
평균 매출액
전체1,593328,91220,250
서울347377,05223,838
부산82236,74515,352
대구23200,44813,955
인천170358,17522,048
광주73327,38619,068
대전25284,62119,296
울산6185,32410,899
세종11256,58416,811
경기510354,83422,386
강원42302,46117,619
충북43305,89415,233
충남48320,49621,260
전북37237,38213,411
전남56352,12817,602
경북36205,47613,123
경남58198,78112,738
제주26289,86115,326
2020년 메가커피 매출(펼치기)
지역2020년
점포 수연매출
(천원)
면적(3.3㎡)당
평균 매출액
전체1,184286,02518,949
서울203328,37822,129
부산74235,18315,944
대구20175,87314,008
인천144335,94721,418
광주61295,46018,193
대전17215,26216,559
울산7161,06410,156
세종8222,97814,343
경기387304,23221,233
강원33246,09015,942
충북27273,66813,533
충남36286,26019,742
전북27195,63312,161
전남39314,24616,280
경북33176,77811,416
경남47173,68512,037
제주21256,06314,855

21년,22년 메가커피 대외정보공개서.PDF

공정거래위원회 메가커피 정보공개서 홈페이지에서 4년치를 확인한 결과 메가커피는 2023년까지 매해 매출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대외정보공개서라고 해서 디테일한 정보를 담은 자료가 2022년까지만 공개가 되어 있습니다. 2023년 것은 아직 공개가 안된건지 제가 놓친건지 모르겠군요.

매출표를 보실때 주의할 점은 위 매출표는 부가세 미포함 기준입니다. 위 내역에 +10%를 하셔야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총매출액’ 이 됩니다.(양도인이나 컨설팅 업체에서 브리핑 받는 매출…^^)

이 기준 2023년 메가커피 월평균 매출은 3,324만원을 달성했습니다. 정말 비현실적인 매출액입니다.

대외정보공개서 상 2022년 전국에서 매출 1등 가맹점의 연매출은 약 11억 6천만 원으로 부가세를 포함하여 계산해보면 월평균 매출은 약 1억 7백 2십만원 입니다.

정말 엄청나군요^^;

메가커피 가맹점 변동 현황

연도신규개점계약종료계약해지명의변경
2023539014333
202257218246
202141708115
2020397011101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메가커피 가맹점 변동 현황 입니다.

코로나가 끝나며 매년 신규 창업이 폭발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계약해지는 매우 낮고 명의변경도 23년 총 가맹점 2,681개 기준 333건으로 약 12%의 안정적인 숫자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글에서도 종종 말씀드리지만 명의변경은 일반적으로 양도양수가 된 개수를 의미합니다. 이 비율이 총 가맹점 개수 대비 5%~10%정도가 일어나야 창업 시장에서 양도양수 품목으로 인정받고 가게를 정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사전지식이 없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양도양수 라는 거래방식은 확률이 극악으로 낮고 매우 어려운 거래방식입니다.

때문에 프랜차이즈 창업을 하려면 해당 브랜드가 매년 명의변경이 몇건 정도 이루어지는지를 유심히 봐야 합니다.

반대로 예전엔 좋았지만 현재는 브랜드가 망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양도양수를 하고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메가커피 순이익(마진율)

항목내용비고
월매출3,324만원2023년 기준
(총매출액)
임대료450만원마지노선
재료비38%~40%
인건비20%초반
로열티매월 16.5만원부가세포함
기타비용배달수수료, 부가세, 카드수수료, CCTV, 인터넷 등
순이익
(마진율)
20% 전후타브랜드 평균

2023년 평균인 월매출 3,324만원을 기준으로 메가커피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참고로 같은 브랜드라도 매출 구간별로 수익 계산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재료비가 증가하는 아이템이 있고 하락하는 아이템이 있기도하고 인건비 사용, 세금 등등 디테일한 부분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월매출 – 매출액 자체는 100% 홀매출이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배달이 섞여 있을 것입니다. 배달 매출은 과도한 수수료로 인해 마진이 줄어들기 때문에 비중이 적을 수록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30%를 넘기지 않는게 좋다고 봅니다.

임대료 – 이론상 450만원을 초과해도 수익은 괜찮게 가져갑니다. 하지만 무조건 낮은게 좋겠죠. A급은 300만원 이하이고 가급적 450만원을 넘기지 않는걸 추천드립니다.

재료비 – 보통 저가커피 재료비를 38%라고 말하는데 이 매출 구간이면 40%가 조금 안되거나 살짝 오버하는게 현실적이라 봅니다.

아무래도 로스 관리하는게 쉽지 않기 때문에 매출이 올라갈수록 확률상 그렇다는 겁니다. 관리잘하시는 분들은 이 매출구간에도 35%이하로 쓰시는 분들 계시지만 초보자는 힘들다는것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인건비 – 매출 대비 20% 초반의 인건비를 쓰도록 점주가 조절하는걸 권장합니다.

3300만원의 20%면 거의 660만원인데 시급x인원x근무시간(+4대보험, 식사, 간식 등등)을 역산해보면 결코 넉넉한 인건비라 말하기 쉽지 않습니다.

기타비용 – 아직까지는 세금적인 부분에서 크게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도 되는(아마도…?세금은 세무사와 상담을…)매출 구간입니다.

부가세는 1년에 2번(개인사업자 기준)내는데 매출 세액-매입세액 = 지불해야 할 부가세 입니다. 참고로 인건비는 부가세 매입 항목이 아닙니다.

  • 6개월 기준
  • (총매출/11)-(재료비/11)-(월세의10%)-(기타 매입항목/11) = 1기에 내야할 부가세
  • (3,300/11) -(1,320/11)-(450의 10%)-(기타 매입항목/11) = 815만원-기타매입항목

대충 재료비와 월세450만원만 감안했을 때 1분기에 815만원 가량의 부가세를 내야합니다. 월로 따지면 약 136만원인데 CCTV, 인터넷, 전기세 등등 매입항목은 더 많으니까 이것보단 적게 나올겁니다.

  • 홀 : 배달 비율은 7:3을 넘지 않는 것을 추천, 무조건 낮을수록 좋음
  • 매장 가격, 배달 가격에 차이가 있어서 그나마 낫지만 배달플랫폼의 비용이 계속 추가되고 있어서 전망이 좋지 않음

기타비용 중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는게 배달수수료 입니다. 주문 건수마다 라이더 비용에 중개수수료에 매달 깃발값에 할인에…

어플을 통한 카드결제시 카드수수료는 pg사를 통해 결제되는거라 수수료가 3% 적용, 부가세 떼고…그냥 배달 매출은 없는 셈 치고 계산하는게 머리가 덜 아픕니다;

이 외에 홀에서 긁는 카드수수료, 할인 분담금에다가 나갈게 참 많습니다. 메가커피 뿐만 아니라 모든 프랜차이즈가 똑같습니다.

수익률(마진율) – 이런 저런 항목들이 워낙 많다보니 수학공식 처럼 계산을 한다는게 불가능합니다.

때문에 대략적으로 봤을 때 총 매출 대비 20%가 조금 안되거나 20%전후의 수익을 가져가는게 현실적인 수준이라고 보는게 좋습니다.

초보들은 처음에 이보다 낮은 수익을 가져갈 확률이 아무래도 높죠.

반대로 재료비, 인건비, 세무 등 각 항목을 관리하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같은 매출, 월세라도 더 많은 수익을 가져가는 점주분들도 많으시다는걸 아셨으면 합니다.

메가커피 창업 후기, 개인의견

메가커피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커피 프랜차이즈 중 창업 선호도 1순위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유동을 바탕으로 박리다매를 해야하는 저가커피의 구조상 모든 매장이 5년 10년 안정적으로 영업을 이어나가는것은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같은 메가커피 가맹점의 포화, 경쟁점포(빽다방, 컴포즈커피, 더벤티 등)포화와 함께 올해 원두 수입 가격 상승으로 대부분 카페에서 커피값을 올리는게 기정 사실화 되는 분위기 입니다.

그에 맞춰서 개인점이나 고가 컨셉의 브랜드들도 커피 가격을 다 올릴 것이기 때문에 저가 커피라는 상대적 장점은 없어지진 않을거라 보지만 변수는 언제든 찾아올 수 있단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단순히 어떤 브랜드가 좋다! 라는 관점보다 이런 변수 속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브랜드의 조건이 무엇인지? 그 브랜드가 무엇인지? 그에 백그라운드를 받쳐주는 입지 조건이 무엇인지에 포커스를 맞추시길 바랍니다.

트위터, 스레드, 인스타, 블로그에서 몇번을 강조하지만 창업의 승패는 결국 점포개발이고 이를 위한 가장 기본은 적절한 가격에 매장을 인수해서 수익을 잘 벌어가다가 마지막에 권리금을 받고 매장을 넘길 수 있는가 없는가로 결정됩니다.

그걸 위해 끝까지 살아남는 매장의 조건이 무엇인지를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