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프랜차이즈 순위, 매출과 점포 수 1등부터 10등까지 순위를 메겨봤습니다. 치킨 프랜차이즈 창업을 준비하는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하네요.
조사방법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치킨 브랜드 평판 리스트 참고
-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브랜드 정보공개서 참고, 매출 순위 집계
- 매출 상위10개 브랜드에 대해서만 가맹점 수 순위를 집계
프랜차이즈 순위 참고할만 한 글
치킨 프랜차이즈 순위(매출)
상호 | 연매출 (월매출) | 상한 |
1. 교촌치킨 | 694,300 (6,364만원) | 3,146,340 (28,841만원) |
2. bhc | 546,729 (5,011만원) | 2,728,378 (25,010만원) |
3. 맘스터치 | 500,091 (4,584만원) | 1,371,309 (12,570만원) |
4. bbq | 496,840 (4,554만원) | 4,598,548 (42,153만원) |
5. 굽네치킨 | 492,639 (4,515만원) | – |
6. 60계치킨 | 468,124 (4,291만원) | 1,352,862 (12,401만원) |
7. 깐부치킨 | 438,599 (4,020만원) | 1,275,461 (11,691만원) |
8. 아웃닭 | 446,082 (4,089만원) | – |
9. 푸라닭 | 415,622 (3,809만원) | – |
10. 노랑통닭 | 393,232 (3,604만원) | 1,636,521 (15,001만원) |
- 2023년 정보공개서 기준
- 연매출 “부가세 미포함” 기준(단위:천 원)
- 월매출 “부가세 포함”하여 12개월로 나눈 뒤 만원 단위만 표시한 근사값
- 상한이란? – 전 가맹점들 중 가장 높은 연매출, 아랫값은 월매출
- 상한 미표시 – 업데이트가 아직이거나 비공개인 경우
- 상호를 클릭하면 해당 브랜드 관련 포스팅으로 이동(매출, 창업비용, 마진 등 정리)
25년 4월 18일 기준으로 정보공개서는 23년까지의 자료가 최신입니다. 24년 매출은 이제 업데이트를 시작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브랜드 평판 리스트에 올라와있는 치킨 프랜차이즈 중 현재 24년 매출이 업데이트된 브랜드는 없습니다.
그리고 주의할 점은 신규창업한지 6개월 미만의 가맹점은 매출 집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포스기나 카드사를 통한 매출 집계가 아니라 본사에서 발주한 물대와 판매가를 통한 추정치로 집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완전하게 정확한 매출이라고 단정할 순 없습니다.
가맹점들의 평균 매출이 창업했을 때 무조건 비슷하게 나올거란 속단도 해서는 안됩니다. 가맹점의 입점지역, 점포상태, 운영능력, 시기에 따라 매출의 하한과 상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습니다.
이 점을 감안하여 창업 검토를 하시길 바랍니다.
각종 정보공개서는 마닌포스트 카페에 정리중이니 필요하신분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원문 그대로 업로드한 자료들입니다.
치킨 프랜차이즈 순위(가맹점 수)
상호 | 가맹점 수 | 비고 |
1. bhc | 2,291 | |
2. bbq | 2,238 | |
3. 맘스터치 | 1,409 | |
4. 교촌치킨 | 1,377 | |
5. 굽네치킨 | 1,118 | |
6. 푸라닭 | 714 | |
7. 60계치킨 | 661 | |
8. 노랑통닭 | 650 | |
9. 깐부치킨 | 169 | |
10. 아웃닭 | 60 |
- 2023년 정보공개서 기준(단위: 개)
2023년 기준이기 때문에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배달형 매장이 많은 브랜드가 가맹점 수가 많은게 특징입니다.
사실 맘스터치는 넣을까말까 고민했는데…(엄밀히 따지면 패스트푸드인데…흠…)
그리고 창업 준비하시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단순히 현재 가맹점 개수는 큰 의미가 없고 정보공개서를 보실때 ‘가맹점 변동 현황’을 주의깊게 보시길 바랍니다.
모든 지표(신규개점, 계약해지, 계약종료, 명의변경)은 단순히 많고 적고만 중요하지 않습니다. 각 항목들이 브랜드 안정성에 힌트를 주는 요소입니다.
가맹점이 이미 많은 상태에서 신규개점이 계속 늘어간다는게 좋을수도 있지만 반드시 좋은 의미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매출 나눠먹기, 영업구역을 잘 지키지 않는다든지…)
여러 관점으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